Ubuntu and setups
git rebase 최종정리
목차

분명히 git status 로 이상한 파일이 올라가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했는데도, ipynb output image 크기가 너무 커서 push 가 거절당했다.
그러면, 일단 그 파일을 고치고 다시 commit을 한다. 그 상태로 다시 push하면 역시나 cache 에 이전 commit이 남아있기 때문에 또 거절을 당한다.

그러면 일단 기존 text editor는 nano이기 때문에 익숙한 vim으로 바꾸고 rebase를 진행해본다.

rebase 화면에는 두개의 commit이 나오는데, 둘중에 하나만 squash를 해야한다. 그런데 squash가 어떤건지 잘 모르니 실험적으로 첫번째 commit을 squash하고 두번째를 pick 했다. 그랬더니 첫번째 commit의 모든 정보가 날아감..^^ 침착하게 git rebase abort를 한다.
다시 rebase를 시도하고 이번엔 두번째 commit을 squash 하였다. 그랬더니 해피엔딩 ㅎㅎ

'Ubuntu and setup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tensorflow 1을 써야할때 (0) | 2022.10.20 |
---|---|
RLLab Setup & Miniconda setup (0) | 2022.10.20 |
ubuntu vim setup, git rebase 관련 (0) | 2022.02.22 |
ubuntu disk usage by user (0) | 2021.08.11 |
ubuntu user 만들기 (0) | 2021.07.31 |
댓글